2023년 주거급여 신청기준과 혜택 및 신청방법
어려운 국민들의 최저 생활을 보장해 주는 기초생활급여는 기존에 통합 지급된 것과 달리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총 4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세분화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거급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주거급여 신청기준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2023년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인 경우 신청가능 가구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47% (주거급여 기준) 976,609 1,624,393 2,084,364 2,538,453 2,975,423 3,397,151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사이트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가능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 누가받나요? < 제도안내 :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소개, 대상, 혜택, 보도자료, 홍보영상을 제공하..
2023. 4. 10.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
2022년 예상과 다르게 많은 청년들이 가입하여 준비했던 예산을 초과했었던 청년희망적금이 2023년 6월 청년도약계좌로 다시 돌아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또한 2022년 청년 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은 가능한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2023년 6월 예정) 만 19~ 34 세(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적용) 개인소득 연 6천만 원 이하 (개인소득 6천만원 이상 ~ 7천5백만 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및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음)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원수 중위소득 180%(2023년) 1인 3,740,206 2인 6,221,079 3인 7,982,669 4인 9,721,735 5인 11,395,238 6인 13,010,366 위..
2023.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