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중소기업을 다시는 청년들에 대하여 최대 90%까지 소득세를 감면시켜 주는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신청방법과 조건에 대해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 시에도 도움이 되니 조건이 되는 청년분들은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신청 대상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5년간 최대 90%까지(한도 150만 원)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
신청자격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 15세 ~ 34세
2012년 1월 1일 이후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재직 중인 자
중소기업의 기준이 헷갈리시면 아래사이트에 가셔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 등 기관 중소기업 조사, 통계 DB화 검색, 내려받기 등 제공.
www.mss.go.kr
위 두조건만 해당하면 소득조건 등 다른 제한 없이 신청이 가능하지만 신청 제외대상 업종이 존재합니다.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신청 제외대상
보건업 (병원, 의원 등)
교육서비스업(기술 및 직업훈련 학원 제외)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업종 중 전문서비스업(회계, 법무 관련, 세무 관련 서비스업 등)
해당 중소기업의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대표자 또는 특수관계인(4촌 이내 인척, 6촌 이내 혈족, 배우자, 직계존비속 친생자, 친생자의 배우자)
금융 및 보험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2020년부터 예술, 스포츠, 도서관, 창작 등 여가 관련 서비스업 직종은 신청가능
중소기업 쳥년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회사마다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병역의무자 병역증명서와 함께 국세청에서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하여 같이 제출하시면 됩니다.
국세청에 접속하여 상단메뉴에서 세무서식을 찾아 클릭하여 줍니다.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다운로드해 줍니다.
해당내용을 작성하여 회사에서 관련부서에 필요한 서류와 함께 제출하시면 됩니다. 회사 만다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제출하기 전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에 신청 이후 이직했을 경우 다시 서류를 제출해서 신청해야 하며 감면기간은 최초로 신청한 날짜부터 5년간 중단 없이 지속되므로 처음 신청일을 기준으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신청대상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상이 되는 청년들은 꼭 신청하시어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정부 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0) | 2023.05.04 |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 (0) | 2023.04.27 |
2023년 주거급여 신청기준과 혜택 및 신청방법 (0) | 2023.04.10 |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 (0) | 2023.04.06 |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지원안내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