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정책

기준중위소득 50%, 100%, 150%, 180% 금액 및 정부사업 알아보기

by 나이트러너 2023. 5. 23.

 

 

정부에서 어떠한 지원금이나 복지정책을 시행하여 그 대상을 선별할 때 중위소득기준을 많이 이용하곤 합니다. 중위소득 기준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걸쳐 매년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2023년 중위소득 기준과 금액은 어떠한지와 대표적인 정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2022년과 2023년

 

 

 

최저임금 인상등으로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작년인 2022년과 2023년 중위소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022년(100%) 194만 4812 326만85 419만4701 512만1080 602만4515 690만7004
2023년(100%) 207만7892 345만6155 443만4816 540만964 633만688 722만7981

 

중위소득 100%

1인가구 기준 194만 4812원  >   207만 7982원 약 6.84% 인상

4인가구 기준 512만 1080원  >   540만 964원 약 5.47% 인상

 

 

중위소득 100%는 현재 신청가능한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

청년들의 자산형성에 도움을 줄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드디어 출시되었습니다. 5월 1일부터 5월 26일까지 신청이 가능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조건만 맞는다면 최대 1440만원을 모을 수 있는 만큼

2.surrealnight.com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과 대표정책

 

2023년 기준중위소득 100% 기준으로 50%, 100%, 150%, 180% 각각 계산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현재 시행되는 대표적인 정책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1인가구 중위소득 50%라면 중위소득 100% 207만7982 에서 50%를 곱하면 103만 8946원이 되겠습니다.

 

 

 

 

중위소득 50%

 

2023년 중위소득 50%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103만 8946원

2인가구 172만 8077원

3인가구 221만 7408원

4인가구 270만 482원

 

 

중위소득 50%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여 각종 지원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각종 공과금 할인, 의료지원, 국가장학금지원, 교육급여 등 여러 혜택의 대상이 되며 청년내일저축계좌 또한 중위소득 50% 이하는 정부지원금을 더 많이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150%

 

 

2023년 중위소득 150%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311만 6838원

2인가구 518만 4232원

3인가구 665만 2224원

4인가구 810만 1446원

 

중위소득 150%는 서울시에서 청년에게 중개보수와 이사비지원 사업의 지원대상입니다.

 

 

 

 

2023년 서울시 청년 이사비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서울시에서 청년들에게 중개수수료와 이사비지원사업을 지원하는 사업을 작년에이어 올해도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작년에는 지원조건이 높아 목표 지원대상자보다 훨씬 적은 인원이 혜택을

2.surrealnight.com

 

 

중위소득 180%

 

2023년 중위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374만 205원

2인가구 622만 1079원

3인가구 798만 2668원

4인가구 972만 1735원

 

6월 출시예정인 청년도약계좌가 가입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

2022년 예상과 다르게 많은 청년들이 가입하여 준비했던 예산을 초과했었던 청년희망적금이 2023년 6월 청년도약계좌로 다시 돌아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또한 2022년

2.surrealnight.com

 

 

 

 

이번시간에는 각 중위소득과 대표적인 정부의 사업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앞으로도 어떠한 지원금이나 복지사업의 중위소득이 기준으로 많이 사용될 예정이니 매년 중위소득이 어떠한지 확인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