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부 지원정책13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혜택,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서울시에서 청년들의 자산형성에 도움을 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 사업의 신규 참여자 모집이 곧 시작됩니다. 2년 또는 3년 동안 저축한 금액의 두배로 만들어주는 엄청난 사업인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사업의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혜택 저축한 금액의 2배를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만기를 2년과 3년 중에 선택할 수 있으며 저축금액을 10만 원 또는 15만 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만기 3년과 15만원씩 저축을 한다면 총 540만 원 저축하게 되고 추가로 540만 원을 지원받게 되어 총 108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이자금액도 별도로 지급됩니다. 만기기간 / 총 금액 (저축+지원금) 10만원씩 저축 15만원씩 저축 2년 480만원 + 이.. 2023. 6. 9.
서울시 2차 청년수당 신청방법과 신청기간 및 지원대상 서울시에서 미취업 또는 단기 근로를 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하는 2023년 청년수당 2차 신청이 곧 시작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2차 청년수당 신청방법과 신청기간 및 지원대상자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시 2차 청년수당 지원대상자 지원금액 매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총 300만 원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 만 19 ~ 34세 (1988년 6월 1일생 ~ 2004년 6월 30일생) 고등학교, 대학(원) 졸업 후 미취업 상태인 자 (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단기 근로자 신청가능) - 2023년 5월까지 최종학력(중, 고교, 대학)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가능 2023년 5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자 (건강보험료 월 부과액 기준) - 신청자가 지역세.. 2023. 6. 8.
기준중위소득 50%, 100%, 150%, 180% 금액 및 정부사업 알아보기 정부에서 어떠한 지원금이나 복지정책을 시행하여 그 대상을 선별할 때 중위소득기준을 많이 이용하곤 합니다. 중위소득 기준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걸쳐 매년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2023년 중위소득 기준과 금액은 어떠한지와 대표적인 정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2022년과 2023년 최저임금 인상등으로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조금씩 인상되고 있습니다. 작년인 2022년과 2023년 중위소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022년(100%) 194만 4812 326만85 419만4701 512만1080 602만4515 690만7004 2023년(100%) 207만7892 345만6155 443만4816 540만964 633만68.. 2023. 5. 23.
2023년 서울시 청년 이사비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서울시에서 청년들에게 중개수수료와 이사비지원사업을 지원하는 사업을 작년에이어 올해도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작년에는 지원조건이 높아 목표 지원대상자보다 훨씬 적은 인원이 혜택을 받게 되자 올해는 지원조건을 대폭 완화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서울시 청년 이사비지원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기간 지원내용 생애 1회 최대 40만 원 (이사비, 중개보수비) 지원 지원대상 5000명 지원 2022년 11월 17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시 안에서 이사한 만 19세 ~ 39세 무주택 청년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1인가구 311만 7천 원, 4인가구 810만 2천 원)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주택(전, 월세) * 거래금액 = 임차보증금 + (월세액 .. 2023.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