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살아가다 보면 결혼식이나 장례식장에 방문할 일이 생깁니다. 사회 초년생들은 지갑에 여유도 없는데 의도치 않은 금액이 빠져나가게 되며 또한 조의금을 내야 하는 적정한 금액을 잘 몰라 고민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례식장에 가서 내게 되는 조의금 액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의금 액수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의금 또는 부의금은 비슷한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금액은 어느정도가 적당한지 우리나라 보편적인 조의금 금액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조의금은 보통 3만 원, 5만 원, 7만 원 10만 원, 20만 원, 30만 원 순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10만 원 단위 이전에는 홀수 금액으로 올라가야 하며 4만 원, 9만 원 은 불길한 숫자로 여기어 꼭 피하셔야 하는 금액입니다.
조의금은 통상 식비가 들어가는 결혼식 축의금보다는 부담을 적게 가져도 되어 기존에는 3만 원이 평균적인 액수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물가상승 등을 고려하여 5만원이 평균적인 금액이 되었습니다.
거의 얼굴도 모르거나 교류가 없거나 하면 3만 원이 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친구사이에 어느정도 친분이 있거나 회사에서 같은 부서이거나 교류가 조금 있는 사이라면 5만 원이 적정한 금액으로 불립니다.
이보다 더 친분이 있거나 교류가 많으면 7만원, 친구나 회 사 사람 중에 절친 수준이면 10만 원 정도까지 보기도 합니다. 직속 상사도 10만 원 정도가 적당한 금액으로 불리기는 합니다.
다만 이 금액들은 보편적인 금액이며 꼭 지켜야하는 금액이 아닙니다. 자신의 경쟁적 상황을 고려해 금액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령 회사 직속상사의 장례 시작에 방문했을지라도 자신이 사회초년생이거나 경제적 여유가 없다면 보편적인 10만 원 대신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를 조의금 액수로 정하여도 괜찮습니다. 주변에 동료들이 내는 금액을 조심히 물어보고 참고하셔서 액수를 정하시면 됩니다.
또한 친구사이에도 자신이 여유가 없다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금액을 지불하시면 됩니다.
정리하면 현재 5만원이 평균적인 금액이나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 금액을 조절하시면 됩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 법은 간단합니다. 봉투 앞면에는 보통 부의(賻儀)를 쓰기는 합니다만 어차피 조의금인 것을 알기 때문에 꼭 안 쓰셔도 무난하며 봉투 뒷면에서 좌측 하단에 자신의 이름을 세로로 쓰고 바로 옆에 자신의 소속 등을 적으시면 됩니다. 보통 이름만 쓰셔도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