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는 핸드폰 구매 시 대부분 대리점을 찾아가서 구매하였습니다. 하지만 욕심 많은 대리점들로 인해 우리는 소위 말하는 호갱이 되기 쉬었고 강제약정, 높은 할부이자, 높은 요금제 사용 등 어쩔 수 없이 불이익을 당하면서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대리점의 배를 채워주곤 했습니다.
물론 모든 대리점이 그런것은 아니고 계산하고 나면 막상 남는 것은 별로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 다른 선택지가 필요했고 요즘은 대리점이 아닌 자급제폰을 구매하여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는 자급제폰+알뜰폰요금제가 MZ세대 사이에서 공식이 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알뜰폰요금제 사용자가 천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급제폰을 구매하고 저렴한 알뜰폰요금제를 이용하며 현명한 소비를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매시 자급제폰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을 텐데 이번시간에는 자급제폰 구매와 알뜰폰요금제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자급제폰
자급제폰은 소비자가 대리점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온라인 스토어, 가전제품 판매처 등 여러 판매처에서 단말기를 현금이나 카드할부 등으로 직접 구매하고 각 3사 통신사나 알뜰폰요금제를 이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공기계와 자급제폰이 헷갈릴 수 있는데 공기계는 대부분 이전에 개통한 적 있는 제품을 뜻하며, 자급제폰은 개통 이력이 없는 새 상품을 뜻합니다.
대리점에서 스마트폰을 할부로 구매 시 높은 요금제를 3달 정도 이용해야 하고 높은 할부이자와 2년~3년 약정을 강제적으로 가입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자급제폰으로 구매한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갤럭시 S22 구매 시 삼성카드로 할부를 하는 경우 12개월~24개월 무이자 할부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약정이 필요 없고, 통신사와 요금제 또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합니다.
또한 쓸모없는 앱들이 대부분인 통신사별 기본앱이 존재하지 않고, 통신사 로고 등이 존재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며 재판매 시에도 유리합니다.
자급제폰 구매 시 단점
자급제폰 구매 시 높은 기기비용을 공시지원금이나 보조금 없이 직접 부담해야합니다.
대리점에서 스마트폰 구매 시 개통과 정보이전 등 모든 것을 해결해주기 때문에 편리한 반면 자급제폰 구매시 개통이나 통신가 가입 등 모든것을 셀프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나이가 있으신 분들은 진행이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알뜰폰요금제
알뜰폰 요금제는 기존 3사 통신사의 망을 빌려 이용자에게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품질, 속도는 기존 3사와 동일). 약정이나 해지 위약금이 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요금제 이용가격이 위에 사진처럼 매우 저렴하여 대부분 자급제폰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알뜰폰 요금제를 가입하곤 합니다.
다만 알뜰폰 통산사의 종류가 많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기존 3사에 비해 고객센터 대응이나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라 문제 발생 시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