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차휴가 지급기준과 계산법

by 나이트러너 2022. 10. 6.

연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대부분 직장인들은 남은 연차를 확인하고 소모하기 위해 계산중이실 겁니다. 연차를 잘 사용하여 휴가를 떠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연차가 남아있어도 회사 환경상 사용하기 어려운 안타까운 직장인들도 있으실 겁니다. 남은 연차 관리가 중요해진 시기인 지금 연차 지급기준과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스텔 입구

 

연차 지급기준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1년간 80%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연차가 15일 주어집니다. 1년미만 근로자들은 1개월 근무 시 연차 1일이 주어지며 3년 이상 근무자는 2년마다 연차 1일이 추가로 주어지며 최대 25일까지 추가됩니다.

따라서 근무 10년 차에는 연차가 19일, 24년 차에 최대치인 25일이 주어집니다.

 

 

2022년 변경된 공휴일 연차대체 

공휴일을 연차로 취급해 소모하는 회사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2022년 이후부터는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은 공휴일이 유급휴가로 취급되어 연차가 소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업주들의 부담이 증가되어 어떻게든 근로자들의 연차사용을 줄이려는 회사들이 존재할 것입니다.

 

 

 

 

연차 유급휴가의 사용 촉진

회사가 의도적으로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지라도 한 해에 연차를 다 소모하지 않으면 연차수당을 지급해야합니다. 하지만 그걸 방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연차 사용 촉진입니다.

 

보통 이맘떄쯤 남은 연차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남은 연차 개수를 적극적으로 알려주는 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를 하면 연차 사용 촉진이 성립되는데, 이것이 성립된 이후 근로자들이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할지라도 고용주는 연차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사라집니다.

 

따라서 법을 잘 이용해 평소에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압박한 후 남은 연차를 다 사용하라고 공지 한번만 해주면 근로자들의 남은 연차를 합법적으로 날리는 꼴을 볼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받기 어려운 연차수당이지만 퇴사를 하는 등 연차수당 계산방법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기본적인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차수당: 통상임금 x잔여 연차

통상임금:  월 기본급+ 월 고정수당 + 연간 상여금

 

다만 이대로 계산하시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니 관련부서에 문의하거나 인터넷에서 연차수당 계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퇴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연차수당 지키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새해가 되거나 근무하신 지 1년이 딱 되면 연차가 생기기는 하지만 새해 첫날이라던가 근무한 지 딱 1년 되는 날에 퇴사를 하면 연차수당 지급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준일보다 최소 1일 이상 근무한 후 퇴사하시기를 추천드리며 1월이 되자마자 퇴사를 할 근로자분들은 조금 더 참아서 2월 15일에 퇴사하면 2달치 월급을 모두 받고 퇴사하실 수 있으니 잘 생각해보시고 퇴사 하시기를 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