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 나이 계산 방법 간단정리

by 나이트러너 2022. 12. 8.

 

달력

 

 

 

2022년이 끝나가고 2023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벌써 1년이 지나갔구나 하시는 분들도 있을 거이며 또 나이 1살을 먹게 되는구나 하며 내년 나이를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나이 계산은 우리나라에서 특히 방법이 여러 가지이며 각각 기준이 달라 사회적 혼란을 가져오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혼란이 줄어들 예정입니다. 유독 복잡하고 다양한 우리나라만의 나이 계산법이 앞으로는  만 나이로 통일 될 예정입니다. 국회 본회의에서 12월 8일 정도에 만 나이 사용 개정안이 통과할 예정이며 별문제 없이 진행된다면 6개월 뒤인 2023년 6월부터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만 나이를 사용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에따라 현재 자신의 나이보다 최대 2살이 어려질 기회가 생겼습니다!

 

 

 

지금의 나이보다 최대 2살 어려지기 때문에 특히 내년에 앞자리 숫자가 바뀔 예정인 사람들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매우 행복한 사람들도 존재할 겁니다.

 

 

 

 

그럼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적용하고있는 나이 계산법 3가지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나이 계산법

 

 

1. 만 나이(앞으로 통일하는 나이 계산법)

 

앞으로 통일되어 적용될 나이 계산법이며 출생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0살부터 시작하고 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날 때마다 1살이 늘어나는 계산법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7월 25일에 출생하여 기준으로 적용하면 현재 2022년 12월 8일 기준으로 만 0세이며 

1년이 지난 2023년 7월 25일부터 만 1살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앞으로 출생 후 만 1세 이전인 신생아들은 개월 수를 표시하여 적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생일

 

 

 

만 나이 = 현재 연도 - 출생연도 (생일 지나지 않았으면 추가로 -1 적용)

ex) 출생연도 1994년이라면 현재 2022년 기준  2022 - 1994 = 28살(생일 안 지나면 27살)

현재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나이(세는나이)에서 생일이 지났으면 -1살,  지나지 않았으면  -2살 적용

 

 

 

 

2. 세는 나이(현재 일상에서 사용하는 나이 계산법)

 

우리가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현재 적용하고 있는 나이로 출생일로부터 바로 1살로 시작하며 매년 새해 1월 1일이 되면 출생일 상관없이 모두가 1살씩 추가합니다. 세는 나이 계산법의 큰 문제로 볼 수 있는 점은 12월 31일에 태어난 아이가  1세로 시작하며 하루만 지나면  바로 2세가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3. 연 나이(일부 법률상에서 사용하는 나이 계산법)

 

우리에게 많이 익숙하지 않으며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나이 계산법입니다.

계산법은  현재 연도 - 출생연도입니다.

일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나이 계산법 입지만 병역법, 민방위 기본법, 예비군, 청소년 보호법 등 일부 법률에서 사용합니다.

 

 

 

 

 

앞으로 만 나이 계산법이 적용되면 최대 2살까지 어려질 수 있습니다. 물론 숫자상으로만 줄어드는 것일 뿐 몸은 그대로이며 처음에는 지금까지 사용하던 세는 나이가 익숙하여 만 나이 적용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적응이 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혼란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곧 다가올 새해를 맞이하며 만 나이 기준으로 2023년에 자신이 몇 살이 되는지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